언론과 방송을 통해 본 심샘

공중부양의 인문학 사러 가기

조회 수 156 추천 수 0 댓글 0

  ‘상품’의 탄생은 사람 관계와 사람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동반하게 됩니다. 

  상품이라고 하면 보통 사람들은 진열장에 전시된 여러 물건을 떠올리죠. 편의점이나 백화점 등에 가면 많은 물건이 즐비하게 놓여 있습니다. 모두 상품입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들어가 생각해보면, 물건 이외에도 다양한 상품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재테크에 관심 있는 분들은 보험, 채권, 펀드, 증권 등의 상품을 떠올릴 거예요. 부동산이나 신탁 등도 떠올릴 수 있지요. 

  다양한 상품이 있지만, 상품의 공통점은 “교환을 위한 무엇”입니다. 한 조각의 빵을 만들어 그것을 그냥 먹으면 상품이 아닙니다. 하지만 이것을 화폐와 교환하기 위해(누군가에게 팔기 위해) 시장에 내놓는다면, 이 빵은 상품이 됩니다. 

  이런 상품은 근대사회를 지나면서 급속하게 발전되고 확장되었으며 심지어 사람에게도 확장되었습니다. 자기 집에서 설거지를 위해 쓰는 힘은 상품이 아니지만, 남의 식당에서 하는 설거지를 위해 쓰는 힘은 상품입니다. 남의 식당에서 설거지를 하기 위해 쓰는 힘은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화폐와 교환하기 위한 힘이니까요. 

  원론적으로 보면 “노동력”과 “노동력을 제공하는 사람”은 다릅니다. 많은 노동자가 자기 노동력을 파는 것이지 자기 자신을 파는 것은 아니니까요. 하지만 사람과 그의 힘(노동력)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입니다. 그렇기에 상품의 탄생화 함께 “그의 힘=그 사람”이라는 등식도 함께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등식은 점점 더 강화되어 현재는 “역할=그 사람”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뭐 어렵게 돌려가면서 이야기했는데요.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현대사회에서는 사랑이 하는 일에 따라 그 사람의 가치가 정해진다는 겁니다. 앞(26호의 글)에서 이야기한 삼성전자 회장님과 공장 노동자처럼 어떤 역할을 가지고 어떤 일을 하냐에 따라 사람의 가치도 달라지는 게 현대 자본주의입니다.

  그런다면 다시 처음 질문(25호의 글)으로 돌아가서, 발달장애인의 가치는 무엇일까요? 어떤 존재일까요?

  조사에 의하면 우리 학교 학생의 약 70~80% 이상은 음성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합니다. 오직 10~20% 정도만 말을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초등 1학년~3학년 정도의 지적 활동까지 가는 경우는 매우 극소수입니다. 이렇게 우리 학교 학생 대부분처럼 의사소통이 어렵고 나중에 졸업하여 취업도 제한적인 발달장애인을 보통 사람들은 국가적으로 훌륭한 인적 자원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우리 사회에 이바지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지요. 그저 사회보장제도 내에서 세금으로 도와줘야 할 사람 정도로만 생각하는 게 대부분입니다. 이런 상황이 화나 ‘어떻게 사람이 쓰임이나 역할에 따라 다른 가치가 주어지냐?’고 흥분하면 좀 배운 사람은 ‘무용지용(無用之用)’이라며 토닥입니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무용지용이든 유용지용이든 장자의 이 이야기 속에도 인간의 역할과 그에 대한 가치 매김이 깊이 숨어 있습니다. 장자(壯者)의 인간세(人間世)에 나오는 무용지용에 관한 이야기도 결국 쓰임에 관한 이야기니까요.


* 다음 주에 계속….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공지 주간안내문은 재배포 불가합니다. 2015.05.29
270 학급 운영 발달장애 학교 학생 학습준비도 조사 도구 file 2024.02.27
269 알립니다 [방학통신] 사람은 누구나... 2023.08.07
268 2023년 15주 소식입니다. file 2023.06.02
267 2023년 10주_원거리 체험학습 안내 file 2023.05.18
266 2023년 9주_딜레마(3) 연애를 해 보자(폭력학생을 대하는... file 2023.05.18
265 2023년 8주_누구나 화수분 하나씩 가지고 있지 않나요? file 2023.05.18
264 2023년 6주_상수와 변수 file 2023.05.18
263 2023년 5주_딜레마(2) 행동주의(자해와 타해를 대하는 어... file 2023.05.18
262 2023년 4주 소식_딜레마(1) 누구의 행복인가(자해와 타해) file 2023.05.18
261 2023년 3주 소식-아이들은 부모 몰래 자랍니다. file 2023.05.18
260 2023년 2주 안내문 file 2023.05.18
259 2023년 새학기_만남과 어긋남 2023.04.14
258 2022년 35주 안내_매우 열심히 보기(또는 적당히 열심히 ... file 2023.04.14
257 2022년 34주 안내_살짝 조금만 열심히 보기 (또는 적당히... 2023.04.14
256 2022년 33주 소식_부모의 마음 그리고 국가의 존재 이유 2023.04.14
255 2022년 32주 소식_내가 사랑하는 사람 2023.04.13
254 2022년 31주 소식_바람? 바람! 2023.04.13
253 2022년 30주 소식_사랑의 중간 지점 2023.04.13
252 2022년 28주 소식_무용지용(無用之用) 4-그냥 있음 2023.04.13
» 2022년 27주 소식_무용지용(無用之用) 3-쓰임 2023.04.1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

  • 교육 이야기
  • 심돌이네
  • 자폐증에 대하여
  • 자료실
  • 흔적 남기기
  • 작업실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