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방송을 통해 본 심샘

공중부양의 인문학 사러 가기

Story_In(인문과철학)
2024.05.22 16:00

마투라나 정리노트_관찰자

(*.193.18.178) 조회 수 18 추천 수 0 댓글 0

질문

'앎이 나무'에서 쓰인 '관찰자'란 개념은 일관되게 일반적인 관찰자가 아니라 세상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주체로서의 관찰자를 이야기하는 거지?

대답

일반적으로 "관찰자"는 단순히 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관찰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실험실에서 실험을 관찰하는 과학자나, 자연 현상을 관찰하는 사람이 일반적인 의미의 관찰자입니다.

마투라나의 관찰자는 더 복잡하고 심오한 개념을 포함합니다. 그의 이론에서 관찰자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포함합니다

  • 인식론적 주체: 관찰자는 세상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주체입니다. 이때 인식은 단순히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세상을 구성하는 행위입니다.
  • 언어적 활동의 주체: 마투라나의 관찰자는 언어를 통해 세상을 구분하고, 그 구분을 통해 의미를 형성하는 존재입니다. 언어적 구분을 통해 우리는 세상을 구조화하고, 그 구조 내에서 상호작용합니다.
  • 공동체적 존재: 관찰자는 다른 관찰자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존재합니다. 이는 공동체적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인식을 조율하고, 의미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 자기 참조적 존재: 관찰자는 자신의 인식과 행위를 반성적으로 관찰하고, 그에 따라 자신을 재구성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관찰자는 자신의 인식과 행위를 성찰할 수 있는 존재입니다.

마투라나의 "관찰자"는 단순히 외부 현상을 관찰하는 사람이 아니라, 언어적 구분을 통해 세상을 인식하고, 그 인식을 바탕으로 행동을 조율하며, 다른 관찰자들과 상호작용하는 존재입니다. 이는 단순한 관찰의 개념을 넘어, 인식론적 주체로서의 복잡한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를 의미합니다.

예시

마투라나가 말하는 '관찰자'는 단순히 외부의 사물을 바라보고 기록하는 사람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 언어적 구분: "탁자"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특정 물체를 구분하고, 그 구분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합니다.
  • 자기 성찰: 자신의 언어적 구분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성찰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인식 과정을 돌아봅니다.
  • 사회적 상호작용: 다른 사람들과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의 의미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합니다.

*챗.. 나의 질문에 GPT가 정리해줬다.. 그리고 이해가 잘 된다..챗..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공지 "사람을 잇는 교육"의 모든 글은 저작... 2015.05.29
405 Story_In(인문과철학) 마투라나 정리노트_관찰하는 사람이 없다면, 아무... 2024.05.22
404 Story_In(인문과철학) 마투라나 정리노트_사랑 2024.05.22
403 Story_In(인문과철학) 마투라나 정리노트_사랑의 생물학적 기반 2024.05.22
402 Story_In(인문과철학) 마투라나 정리노트_"관찰자"에 대한 비... 2024.05.22
» Story_In(인문과철학) 마투라나 정리노트_관찰자 2024.05.22
400 Story_In [Story_In 40호] 모두에게 좋은 사람은 누구에게... 2024.05.31
399 Story_In [Story_In 39호] 발묘조장(拔苗助長) 2024.05.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8 Next
/ 58

  • 교육 이야기
  • 심돌이네
  • 자폐증에 대하여
  • 자료실
  • 흔적 남기기
  • 작업실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