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방송을 통해 본 심샘

공중부양의 인문학 사러 가기

봉단이
2023.04.19 12:54

사랑하는 봉단을 보내며

(*.193.18.178) 조회 수 189 추천 수 0 댓글 0

qhd01.jpg

 

  봉단이가 자연으로 돌아간 지 나흘째.

 

  여전히 눈물이 마르지 않는다. 믿기지가 않는다...

  아침에 눈 떴는데 침대 옆에 봉단이가 보이지 않을 때. 화장실에 앉아 있으면 '주인은 뭐 하나?'하고 화장실 문을 긁던, 늘 들리던 그 소리가 들리지 않을 때. 이제 더는 봉단이의 모습을 눈에 담지 못함을 확인하고 나서는 출근길. 눈물이 난다.

  퇴근길. 이젠 반겨 줄 봉단이가 없는 현관문을 열 생각을 하면 마음이 울컥하다. 봉단이가 없는 집은 너무 고요하다. 잠들기 전, 침대 옆 허전한 그 자리를 보고 있으면 또 눈물이 난다. 더 이상 볼 수 없고, 더는 안을 수 없는 친구 같고 애인 같고 자식 같던 사랑하는 나의 봉단. 사람들에게 봉단이는 그냥 개지만 나에게 봉단이는 그냥 개가 아니다.

 

  어젠 성당에 가서 봉단을 위해 기도했다. 봉단이의 구원이나 천국을 바란 건 아니다. 봉단이는 구원받을 나쁜 일을 한 번도 한 적이 없고 봉단이에겐 살아서 나(보호자)와 맛있는 것 먹으며 신나게 뛰어노는 게 천국일 테니. 다만 약 100억 년 후 태양이 꺼지고 지구도 수명이 다해 흩어질 때, 봉단이(의 원소)와 내(의 원소)가 꼭 다시 만나기를 기도했다. 둘 다 지구 물질의 수천조분의 1일지라도 지구가 존재하는 한 그 무엇으로라도 남아 있을 테니.

 

  이제 더 울지 않으려 한다.

 

  안녕. 사랑하는 나의 봉단. 우리의 봉단.

 

qhd02.jpg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공지 "사람을 잇는 교육"의 모든 글은 저작... 2015.05.29
244 사는담(談) 병이 나다. 2010.03.22
243 사는담(談) 얘들아, 아프지 마라.. 2010.04.02
242 사는담(談) 노무현 대통령 귀향연설을 다시 들으며... 4 2010.04.02
241 사는담(談) 금양98호 선원들을 추모하며 2010.04.05
240 책과 영화 우주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 우리고전 100선 '... file 2010.04.05
239 사는담(談) 겸손과 감성(정)의 집단화 2010.04.09
238 시(詩) 고정희-네가 그리우면 나는 울었다. 3 file 2010.04.29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8 Next
/ 58

  • 교육 이야기
  • 심돌이네
  • 자폐증에 대하여
  • 자료실
  • 흔적 남기기
  • 작업실


XE Login